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가 발전하고 세계화하는 과정에서 재생된 민족주의적 가치 담론을 확인하고, 담론에서 소외된 주체와 전략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태권도의 민족주의 적 가치 담론은 크게 두 가지 지형을 형성하고 있었다. 하나는 태권도의 역사를 세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적 가치 담론지형이며, 다른 하나는 태권도의 세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민족주의적 가치 담론지형이다. 이러한 태권도의 민족주의적 가치 담론을 형성하는데 있어 담론을 형성하는 주체와 전략의 측면에서 대중은 소외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제언으로 태권도의 담론을 형성하는 주체의 전환으로 ‘대중 읽기’, 전략의 전환으로 ‘대중에게 다가가기’를 제언 하며, 태권도가 가지는 민족주의적 가치가 세계화 시대와 공명(共鳴)하기 위해서 태권도를 문화적 관점으로 바라보고, 그를 둘러싼 주체들의 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onfirming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ism of Taekwondo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And we try to recognize the marginalized subjects and strategies in the discourse.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ism of Taekwondo was formed by two terrain as follows. One is show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history of Taekwondo and the others is found in Taekwondo globalization.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ism of Taekwondo, the public were being marginalized in terms of subjects and strategies. And we argued that the cultural studies of Taekwondo should be done as two perspectives : ‘reading the public’ and ‘going closer to the public’
논문투고일: 2016. 01 .13.
심사완료일: 2016. 02. 27.
심사완료일: 2016. 0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