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정보         연구성과

(7권 1호) 유단자 품새의 의미와 구성동작 간 연계성 탐색_송선영·이선희·곽정현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427

본 연구는 품새가 제작될 당시 각 품새에 부여한 의미와 그 품새에 담겨있는 구성 동작들이 정확하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품새의 의미와 구성 동작들의 연계성을 통해 향후 품새 지도 시 각 품새의 의미와 구성 동작이 조화를 이루어 수련해야 하는 당위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품새 지도자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탐색 하고자 하는 품새는 유단자 품새 중 고려 품새부터 한수 품새까지로 한정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삼각검증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품새의 의미와 구성 동작 간 연계성 여부에 있어 고려, 금강, 평원, 지태, 한수 품새는 연계성이 많음으로 나타났고, 태백, 십진 품새는 연계성이 적음으로 나타났다. 둘째, 품새의 의미와 구성 동작 간 연계성 부족의 이유는 실전성을 강조한 수련방법과 겨루기 위주 발전에 따른 품새의 형식적 수련, 품새의 경기화에 따른 외형화, 그리고 끼워 맞추기 식의 의미부여를 들고 있다. 셋째, 품새의 의미와 구성동작 간의 연계성을 지니기 위한 방법으로 품새 지도자는 각 품새가 지니고 있는 고유의 의미를 전달하면서 동작을 지도해야 될 것이며, 수련생은 그 의미를 이해하고 끊임없는 수련과정 속에서 자신의 몸으로 체득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품새가 품새로서의 존재가치를 지니는 것, 그것은 품새의 내면적 의미를 동작으로서 표현하는데 있다고 본다.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meanings assigned to each Poomsae when Poomsae are composed and its compositional movements can correctly express the meanings of Poomsae, and through reviewing connectivity we aimed to explore whether the meaning of each Poomsae and compositional movements are harmonized to provide feasibility of training when instructing Poomsae. For this purpose, we have selected 8 Poomsae instructors as participants of the study and limited to Poomsae Hansu from Poomsae Koryo among Poomsaes for black belt. We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the selected Poomsaes and used triangulation to ens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In addition, as ethical issue occurring in the course of studying should be carefully handled, we ensured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firstly that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the meanings of Poomsaes and compositional movements, Poomsaes such as Koryo, Keumgang, Pyungwon, Jitae, Chonkwon and Hansu have high connectivity for study participants while Poomsaes such as Taebaek and Sipjin have low connectivity. Second, reasons for a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the meanings of Poomsae and compositional movements can be due to training method emphasizing more of actual fights, perfunctory training of Poomsae in accordance with sparring oriented development, externalization of Poomsae in accordance with competition and grudging assignment of significance. Third, as a method to maintain connectivity between meanings of Poomsaes and compositional movements, through the findings that we need to inform the unique meaning of each Poomsae and instruct movements, and trainees should understand meaning of them and put efforts to learn through continuous training, we can confirm that Poomsae can have value of existence as Poomsae by expressing internal meanings of Poomsae as movements. 

 

논문투고일: 2016. 01 .31.
심사완료일: 2016. 02. 26.
심사완료일: 2016. 03. 25.

 

 첨부파일
7(1)_02.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