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태권도 교본 및 교재에 표기된 머리 급소의 용어를 조사하고, 정확한 위치를 해부학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현재까지 발간된 태권도 교본 및 교재, 국기원, 외국자료들을 분석하였으며, 서울 C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에 보관된 성인 시신 11구 중 2구는 CT(Computer Tomography)로 촬영하여 머리의 약한 부위를 관찰하고, 나머 지 9구는 확인하기 어려운 관자놀이점의 해부학적 위치를 디지털 버니어켈리퍼스(digital vernier calipers)를 이용하여 계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급소 용어는 한의학적 한자 및 구연되어 오는 급소 용어를 대한해부학회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쉬운 우리 한글 용어로 표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해부학적 관점에서의 머리 급소는 뇌머리뼈의 급소인 미간점, 머리마루점, 미간맞점, 관자놀이점 등이 있으며, 얼굴머리뼈의 급소는 눈, 귀, 코뿌리점, 눈확아 래. 코밑점, 턱뼈가지 등으로 충격 시, 손상이 쉽게 야기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 몸에 급소 가 될 수 있는 머리를 해부학적 분석을 통해 정확한 부위와 용어를 제시하여 태권도 동작을 이해하고 기술을 단련하는데 보다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태권도 급소에 관한 머리 이외의 신체 각 부위의 해부학적 분석과 한글화된 명칭을 제시함으로 써 보다 태권도가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aekwondo is our own traditional martial arts with long history. Martial arts must defeat enemy by exact attacking most sensitive and weakest part with small pow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cise vital part of face anatomically. For this, we combined names of vital parts written in Taekwondo manuals / textbooks and investigated whether each part could threaten a life or no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Vital parts in existing manuals meaned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of oriental medicine or terms that had been passed down orally. 2. Anatomically, vital parts of cranial bones include glabella, vertex, opisthocranion and pterion. vital points of facial bones include eye, nasion, inferior orbit, subnasale and ramus of mandible. Attacking these parts can cause injuries. As a conclusion, we suggested exact parts and terms of vital parts on head by anatomical analysis. It may help find a way to understand and train Taekwondo motion effectively. Additionally,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that analyze vital parts of each body parts anatomically except head for Taekwondo development.
논문투고일: 2015. 09.30.
논문심사일: 2015. 11.10.
심사완료일: 2015. 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