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정보         학술지

[16권1호] 2024 세계품새선수권 자유품새 남자 국가대표 선발전 결선 경기 기술 비교 분석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272

목적

이 연구는 2024년 세계품새선수권 자유품새 남자 국가대표 선발전 결승 진출 선수들의 기술 수행 패턴과 난이도를 비교 분석하여, 고득점과 저득점을 획득한 선수 간의 기술적 차이를 규명하고, 고난도 기술 수행이 경기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결승 진출 상위 7명의 선수들이며, 대한태권도협회 제공 공식 영상을 바탕으로 기술 수행 빈도와 완성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기술은 뛰어 앞차기, 회전 발차기, 아크로바틱 동작, 고난도 연결기이다. 난이도 1~5로 구분하여 각 선수들의 기술 수행 및 감점 사항을 전문가 회의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전문가 회의는 1차 기술의 구분, 2차 기술의 표현성 및 완성도 분석, 3차 종합토론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각 기술별 가장 많이 수행한 기술은 뛰어 앞차기 5단계, 1080도 돌려차기, 900도 뒤 후려차기, 5회 연결발차기, 아크로바틱 난이도 4단계를 주로 사용했으며, 고난도 연결기는 3회 이상 수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뛰어 앞차기 에서 선수 간 차이는 발차기의 표현과 발차기의 높이로 나타났다. 셋째, 회전 발차기에서 선수 간 차이는 회전의 각도와 발차기의 표현, 착지동작의 안정성이 점수획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결 발차기에서 선수 간 차이는 발차기의 다양성, 발딛기와 발차기의 연결속도, 발차기의 높이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크로바틱에서 선수 간 차이는 공중 동작의 표현성과 착지의 안정성, 발차기 형태의 정확성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난도 기술 연속기에서 선수 간 차이는 기술의 연속성과 발차기의 표현성, 착지의 안정감으로 나타났다.


결론

태권도 자유품새 경기에서 고득점 획득하는 선수들은 뛰어 앞차기, 회전 발차기, 연결 발차기, 아크로바틱 기술에서 높은 완성도와 안정성을 보였으며, 고난도 연속 기술의 표현성과 연결성이 성적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지도자와 선수는 체공시간 확보, 착지 안정성 강화, 기술 연결 속도 향상 등의 훈련을 통해 선수들의 경기력을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첨부파일
13 이진호.pdf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