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코로나 시기 온라인 태권도 수업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속성 및 특성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Q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Q모집단을 구성하여 최종 25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일선 태권도장에서 태권도를 지도하고 있는 관장 총 20명을 P표본으로 결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PQ method 2.35를 이용하여 주요인분석방법과 직교회전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유형의 설명력은 62%로 나타났다. 제1유형(N=7)은 온라인 태권도 교육의 한계성 인지형으로 명명되었으며, 아이젠 값 4.6541 및 설명분산 비율 23%로 나타났다. 제2유형(N=8)은 온라인 태권도 교육 활성화와 저변확대 바램형이었으며, 아이젠 값 3.4304 및 설명분산 비율 17%로 도출되었다. 제3유형(N=2)은 환경 제약에 구애받지 않지 않는 비대면 온라인 교육 기기 개발형이었으며, 아이젠 값 2,5839 및 설명분산 비율 13%로 도출되었다. 제4유형(N=3)은 온라인 태권도 교육 효과성과 태권도 시장의 미래추구형이었으며, 아이젠 값 1.7182 및 설명분산 비율 9%로 도출되었다. 또한 각 유형별 간 차이점과 공통점을 도출하였다. 지도자의 다양한 역량과 정서적 교감을 나누기 힘든 구조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다양한 수업대형을 적용 가능성을 부정적 중요성으로 인식하는 공통점이 나타났다.
결론
이 연구에서 나타났듯이 온라인 태권도 수업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유형에 있어서, 온라인 태권도 교육에 대한 활성화 및 태권도 시장의 미래를 추구하는 것에 더 많은 중요성을 두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