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이 연구는 태권도 용어에 있는 한국의 문화적 속성을 탐색하여 태권도를 수련하고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동작에 담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태권도 수련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에 그 필요성 및 목적을 두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세계태권도본부인 국기원에서 제작한 태권도교본(2021)의 태권도 기본 용어를 중심으로 기본기술을 분류하고, 각 기본기술의 명칭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와 대한민국 및 동양의 사상 및 문화와의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문헌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첫째, 태권도의 용어 중 자연물과 관련된 용어로 우리의 역사에서 신성시 여겨 온 ‘산’의 형태에서 온 산틀막기와 ‘회오리바람’의 경상도 방언에서 온 돌개차기가 있다. 둘째, 태권도의 용어 중 동물과 관련된 용어는 한국인의 삶과 깊은 관련이 있는 소의 뿔에서 온 황소막기와 소를 움직이게 하는 멍에에서 온 멍에치기, 행운을 가져다준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제비를 형상화한 제비품치기, 민족의 기상을 설명하는 호랑이의 모습을 형상화한 범서기, 신성시 여기는 학을 형상화한 학다리서기, 새의 날개를 형상화한 나래차기가 있다. 셋째, 태권도의 용어 중 사물과 관련하여 불교의 강인함을 보여주는 금강역사상의 자세를 본 딴 금강막기, 체를 받치는 쳇다리에서 온 쳇다리 서기, 그리고 현재의 경첩 역할을 하는 돌쩌귀에서 딴 돌쩌귀가 있다.
결론
이러한 태권도 용어의 문화적 배경탐색은 태권도를 수련하는 수련생과 지도자들의 태권도의 모국인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여 태권도 기술에 대한 이해와 숙련을 높이는 것에 기여 할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